[node.js] DI(의존성 주입) 구현하기
[node.js] DI(의존성 주입) 구현하기
2021.08.20DI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DI)는 잘 알려진 기술이다. IoC 컨테이너를 이용한 DI는 여러 모듈의 확장성과 독립성에 큰 도움을 준다. 특히 Spring에서 Java Bean을 이용하여 DI를 구현하는 것이 국내에서 가장 유명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Node.js에서 DI는 그렇게 활발하게 쓰이고 있지 않는 것 같다. 왜냐하면 require로 모듈을 바로 불러오면 되기 때문에 굳이 필요성을 못 느끼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에 공부를 하면서 node에서도 DI를 해야 하는 이유를 알게 되어서 예제 코드와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DI와 테스트 코드 의존성 주입은 하나의 패턴이다. 만약 의존되는 클래스를 매개변수로 전달해준다면, 모듈 안에서 클래스를 불러오거나 새로 만드는 것..